Saturday, May 24, 2008

Hard-Hearted Liberalism

There are plenty of nonreligious fundamentalists and religious nonfundamentalists around, and the border zones are of great interest. The key is that whatever the vaguely insulting term "fundamentalism" means, it stands less for a fight between religion and secularism than for a fight between different kinds of believers (p. 3)

Ironically, all the lather against censorship can end up creating a moral monopoly at exactly the same moment it is clamming to burst one. Making counterarguments against certain views is to ticklish that the opposition often chooses to remain silent. During his administration, for instance, Ronal Reagan declared "war" on such enemies as drugs, terrorism, and kidnapping. All were failsafe politically because critics of his policies would risk being seen as fans of drugs, terror, or child abuse. In the same way no one wants to look like a fan of censorship. To their credit some liberals have the courage of just this sort of perversity: "let the Nazis march" (sometimes followed quickly by the qualification, "so that we all can see how sick they are") (pp. 20-21).

Yet the irreducible pluralism of the world prevents any program - even the liberal one - from predominating without question. This book attempts to treat the problem of liberalism's liberal tendences (p. 25).

The public involves official "capacities"; the private concerns "peculiar purposes" or "definite persons." The public, like a statue, remains invariant regardless of audience or response. Availability, not reception, is the criterion of publicity (the BBC defended its unwatched program on precisely these grounds). The actual audience does not affect the public nature of the act. Public places are open to all indifferently (p. 26).

This book probes, ultimately, the mystery of iniquity: how to deal with the harsh moral fact that evil seems in some way necessary and even at times beneficial (p. 27).


Courting the Abyss - John D. Peters

Wednesday, May 21, 2008

John D. Peters at the Mcgill University, Montreal, Canada

On religion, society and territory

On Liberalism and Neutrality

On The Media

On Free Speech

On censorship

Monday, May 05, 2008

Kittler, Discourse Networks

Kittler, Friedrich. Discourse Networks, 1800/1900. Trans. Michael Metteer. Palo Alto, CA: Stanford UP, 1990.
First of all, there is no reading Kittler quickly. Discourse Networks 1800/1900 is like a technology-focused sequel to Foucault's The Order of Things. Kittler notes that Foucault ended his archaeology of discourse around 1850, just before things got going with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xpansion of media technologies--typewriter, gramophone, and film (each contributing to a medial turn Foucault does not address). The German title Aufschreibesysteme arguably translates more accurately as "notation systems" or "inscription systems"; provided that Kittler does relatively little with the idea of "network", "inscription systems" seems like a better fit with what's here.

What's here? Two epistemes and periods, each corresponding to a century mark. The discourse network of 1800 is set against the discourse network of 1900. The first is characterized by hermeneutics, alphabetization, and (original, solitary, Romantic) poetry (its emblematic figure, Goethe's Faust); the second is characterized by technological media, inscription, and exhaustive data storage and transmission (its emblematic figure, Nietzsche). In David Wellbery's foreword, he calls Discourse Networks a "genealogy of hermeneutics." (xi). After brief chapters explaining how the figures of Faust and Nietzsche prime the epoch under consideration, each section consists of three chapters.

Discourse Network of 1800 (Romantic/hermeneutic)
The Mother's Mouth (25): mother and state as producers/encoders of discourse; normalization of speech (36) via alphabet and primers; consumption and production model; Poet-Author ascendant.
Language Channels (70): language as mere channel (for love); writing from nature (inscription systems naturalized); aims of discourse are love and poetry.
The Toast (124): Literary philosophy driven by interpretation; philosophy joins poetry in the hermeneutic trap; complementarity of genders.

Discourse Network of 1900 (Modern/medially inscribed)
The Great Lalula (206; psychophysics, technological media): materiality!; discourse analytics such as counting words (190); mathematical linguistics (222); memory experiments free from hermeneutics (208); language standards and dehumanization (223); data storage; film and gramophone; typographic spatiality (257).
Rebus (265; psychoanalysis, literature): translation is impossible; transposition is possible only in untranslatability [does this anticipate digitality?] (265-273); Freud transposes dream-images into symbolic relations and written records (274); limited inscription systems determine psychoanalytic subjects; technological media destroy the monopoly of writing.
Queen's Sacrifice (347; gender): antagonism of genders.

Wellbery suggests that Kittler "establishes a positive research program for posthuman criticism" (xii) and that he does so, in part, by analyzing at the level of machines rather than the signifier. In this respect, Discourse Networks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Fuller's Media Ecologies. Kittler's explanation of technological media suggest that they are capable of subsuming human corporeality, subjugating the subject to data such that agency dissolves and Man and soul no longer apply (258) [Fuller uses this point to distinguish Kittler from McLuhan who suggests a more cooperative dynamic between humans and their extensions].

With the medial turn in the discourse network of 1900, the flight of ideas commences. Language loses its inwardness (243), and individuals learn the autonomy of linguistic expression (239). Kittler identifies one defining locus for the transition between the two epistemes, oddly enough, in talking dolls (232), which he explains shift from repeating parental phrases (dolls of 1800) to the self-relation of children's recorded voices talking or singing to children (Edison). This self relation displaces both the mother and the state--primary encoders in the discourse network of 1800.

Key terms: monopoly of writing (370), genealogy of hermeneutics (xi), presupposition of exteriority (xiii), presupposition of mediality (xiii), presupposition of corporeality (xiv), cybernetic sociology (xviii), Lacanian register (symbolic, imaginary, real) (xxxi), Republic of Scholars (4), free writing (14), free translation (19), hermeneutics (21), cloud of meaning (21), nature's production of discourses (25), mother as primary instructor (26), alphabetization (27), coercive act of alphabetizing (30), purification of speech (37), true programming (49), circuit of legitimation (61, 153), bureaucratic baptism of knowledge (61), inscription (64), silent reading (65), love and poetry (73), translation of the unspeakable (77), fantasia of the library (91, 99), poetry, author, work (109), fixed idea (110), authorial function (111), serial storage of serial data (116), reading mania (144), anthology (147), new humanists (150), deixis (168), German essay (180), genres (183), maker of words (185), free essays (185, 329), typewriter's chaos and intervals (192), mnemotechnics (196), flight of ideas (205), random generators (206), Morgenstern's The Great Lalula (212), catch phrase (222), written verbigeration (228), rebus (274), red marks on essays (330), writer as medium (331).

"Whatever the historical field we are dealing with, in Kittler's view, we are dealing with media as determined by the technological possibilities of the epoch in question. Mediality is the general condition within which, under specific circumstances, something like 'poetry' or 'literature' can take shape. Post-hermeneutic literary history (or criticism), therefore, becomes a sub-branch of media studies" (xiii).

"Words have no effect because they are skipped over; reading issues only in writing' authors' names detract from the phenomenon of the book. In retrospect the discourse network of 1800 is a single machine designed to neutralize discursive effects and establish 'our absurd world of educators'--'to the "able servant of the state" this promises a regulating schema'--founded on the ruin of words" (179).

"The discourse network of 1900 could not build on the three function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186).

"Not every discursive configuration rests on an originary production of signs. Circa 1900 several blindnesses--of the writer, of writing, of script--come together to guarantee an elementary blindness: the blind spot of the writing act. Instead of the play between Man the sign-setter and the writing surface, the philosopher as stylus and the tablet of Nature, there is the play between type and its Other, completely removed from subjects. Its name is inscription" (195).

"Writing ceased to wait, quiet and dead, on patient paper for its consumer; writing ceased to be sweetened by pastry baking and mothers' whispering--it now assaulted with the power of shock" (223).

"Standards have nothing to do with Man. They are the criteria of media and psychophysics, which they abruptly link together. Writing, disconnected from all discursive technologies, is no longer based on an individual capable of imbuing it with coherence through connecting curves and the expressive pressure of the pen; it swells in an apparatus that cuts up individuals into test material" (223).

"The ordinary, purposeful use of language--so-called communication with others--is excluded. Syllabic hodgepodge and automatic writing, the language of children and the insane--none of it is meant for understanding eyes or ears; all of it takes the quickest path from experimental conditions to data storage" (229).

"As technological media, the gramophone and film store acoustical and optical data serially with superhuman precision. Invented at the same time by the same engineers, they launched a two-pronged attack on a monopoly that had not been granted to the book until the time of universal alphabetization: a monopoly on the storage of serial data" (245).

"One needs the whole power of one's vision to glimpse the overlooked visibility of texts. The black and white of texts seems so timeless that is never occurs to reader to think of the architects of that space" (256).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monopoly of writing, it becomes possible to draw up an account of its functioning" (370).

More passages to keep: x, xiii, xxvi, xxx, 9, 10, 13, 16, 20, 21, 24, 29, 32, 33, 41, 51, 53, 74, 82, 95, 97, 100, 101, 108, 109, 111, 116, 117, 119, 130, 140, 177, 178, 179, 183, 186, 190, 193, 195, 212, 215, 223, 227, 228, 229, 237, 238, 243, 245, 256, 257, 264, 267, 270, 271, 274, 275, 283, 284, 298, 299, 303, 319, 326, 344, 352, 369, 370.

Wait!: epigraphs are mathematical formulas; Wellbery: DN is like Benjamin's Work of Art essay; first half is frustratingly Germanic, referential; dithyramb (181), on counting words (190), Bildung (223), tachistoscope (260), norn (266). Also, read Goethe, Nietzsche and Freud to get the big picture in certain sections.

Source: http://eris.earthwidemoth.com/archives/001418.html

Sunday, May 04, 2008

Discourse Networks (1984)

That Friedrich Kittler’s concept of the discourse network was perceived as a provocation by a significant number of German literary scholars may be explained by the inherent challenge that this concept represented for the hermeneutic tradition. As David Wellbery stated in the foreword to the English translation of Discourse Networks, Kittler used “poststructuralist tools” to question a premise of textuality and interpretation that had at the time of the book’s first publication become self-evident in most German universities.

The German title, Aufschreibesysteme or “systems of notation” reveals the shift from a focus on the interpretation of texts as the basis for discovering the nature of meaning to a focus on systems for “writing down” culture or, as Kittler puts it, “inscribing” and transmitting culture. Regarded through this lens, the history of Western civilization, reveals not an historically coherent human search for tools to express meaning and being, but rather a history of media and systems which, by nature of their technological possibilities, mark a spectrum of information from which meaning is “filtered out”. As Wellbery states:

To be sure, this historicism is no longer the narrative of a subject – a hero of knowledge, labor, or liberty – in the manner of the master plots of modernity [but one of] discourse networks – the linkages of power, technologies, signifying marks, and bodies – that have orchestrated European culture for the past two hundred years. (Wellbery, xiii)

Thus, with this shift in focus, Kittler replaces any grand narrative of literature, human understanding or communication with a “tale of technology” – a media narrative that hovers over the world in which authors, speakers, readers and cultures mark or define themselves by means of stored and transmitted information.

In order to reveal the mechanics of a discourse network at work, Kittler begins his book with a new perspective on a sacred icon of German Literature – Goethe’s Faust.

Seen from Kittler’s perspective, the opening sigh in Faust – the “Ach” – is a pure expression of soul, but only until it is followed by another word, at which point it becomes language; once in the realm of language, the expression of the spirit becomes symbolic self-reflection, the purity of which becomes lost in “meaning”, or “trying to mean”. Thus, although the impetus for the Faustian, intellectual search for meaning is the desire for a direct connection to spirit, the soul’s search for spirit outside of itself immediately confronts the problem of mediality and language; for as a scholar, Faust undertakes his search in the world of “the word”. The first concrete spirit to which the word leads is the author. However, rather than encountering the soul or spirit of the author within the word, Faust encounters a product – the book – behind which the author...


Griggs, Deborah. "Discourse Networks". The Literary Encyclopedia. 6 February 2006. Accessed 5 May 2008.
<http://www.litencyc.com/php/stopics.php?rec=true&UID=1649>

구데리안 장군

구데리안 장군의 초단파 라디오 우울 테크놀로지

이, 실 없고도 짧은 이야기는 롤링 스톤즈의 "악마에의 공감Sympathy for the devil"의 한 대목에서 출발한다.

"장군이 되어 탱크를 몰았지/
전격전이 회오리치고/
시체 썩는 냄새가 진동할 때"

이 가사를 따라가다 보면, 이 문제의 장군은 누구일까라는 의문이 생겨나게 된다. 이언 스베너니어스는 '시체 썩는 냄새' 대목에 주목하면서, 장군이 나찌 측의 장군보다는 소련 측의 장군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한다. 그리고는 "스탈린그라드와 크르슈크에서 나찌군을 격파해 2차대전의 향방을 바꾸어 놓은 러시아의 탱크부대 지휘관 츠코프 장군"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시체 썩는 냄새"란 기계화의 총체 전쟁이 가져온 비인간화의 비참한 상황을 묘사하는 관용어구에 가깝지 않을까? 벤야민은 후각적 기억이야말로 가장 강고한 기억의 형식이라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그것은 기억 속에 가장 오래 잔존하면서 끊임 없이 그 기억의 내용을 상기시키는 힘을 지닌다는 것이다. 이런 기억의 힘이 꼭 소련군 측에만 작용했으리라고 판단할 뚜렷한 근거는 없다. 진공의 상태로 무장하지 않는한, 독일 장병들 역시 전장 어느 곳에나 편재했던 후각적 경험으로부터 자유롭긴 힘들었을 것이다. 그러니까 "시체 썩는 냄새"란 말 그대로 전쟁의 참혹함에 대한 기호일 뿐, 가사의 맥락 상, 구체적인 지시 대상을 지닌다고 보긴 힘들다.

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스베너니어스의 방향과는 정반대로, 오히려 해석의 방점은 "전격전"과 "탱크"에 찍혀야 한다. 이쯤 되면,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지적대로, 문제의 장군이, 전쟁 초기 전격전을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기계화 전쟁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재친, 독일 기갑부대의 하인츠 구데리안 장군임이 쉽게 추정해볼 수 있다. 특히 구데리안 장군이 이끄는 독일 기갑 부대가 전격전의 선봉에 설 수 있었던 이유를 살펴보면, 이런 추정은 거의 확신에 이르게 된다. 구데리안 장군은 탱크들 간의, 기갑 부대와 다른 부대들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초단파VHF 라디오를 사용했다. 이를 통해 독일군은 커뮤니케이션 상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작전 수행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이는 대규모의 작전 수행에 있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한 결과였다. 이에 반해, 전격전의 일차 타격 대상이었던 프랑스 기갑 부대는 마지노선의 안온함에 취해, 원시적인 수준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자족하고 있었다. 이를 테면, 탱크의 전차장이 해치를 열고 나와 직접 신호 깃발을 흔들면서 명령을 전달하는 식이었다. 프랑스 기갑 부대는 나폴레옹의 시대로부터 그리 멀리 벗어나 있지 못했던 것이다.

이 대목에서 중요한 것은, 이언 스베너니어스의 지적대로, 롤링 스톤즈가 미국의 팝 라디오에 수용된 밴드라는 점이다. 미국의 FM 라디오가, 도심과 교외를 연결하는 고속화도로의 자가용 운전자라는 특화된 니치 마켓을 상대로 발전했다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락 음악을 크게 틀어놓고 고속화도로를 질주하는 남성 운전자, 그가 "악마에의 공감"을 흥얼거릴 때, 그는 무의식적으로 독일 기갑 무대의 탱크 승무원로 승격된다. 지휘관의 명령이 실시간으로 중계되던 라디오 방송은 "섹스와 마약"을 숭배하는 락음악의 FM 방송으로, 나찌의 구데리안 장군은 롤링 스톤즈의 믹 재거로 대체되었을 뿐이다. 또한, 후기 자본주의의 소비 사회로 이미 진입한 상황, 쇼핑몰에 넘쳐나는 상품들은, 전장에서 내동이쳐진 채 썩어가는 시체와 묘한 댓구를 이룬다. 실제로 쇼핑몰의 상품들과 전장의 시체들, 이 둘 간의 과도한 연상 작용은 20세기 미국적 괴물의 탄생을 가능케 하기도 한다. 시체 썩는 냄새를 풍기며 쇼핑몰 주변에 엉금엉금 집결하던 조지 로메로의 좀비들이 바로 그 괴물이다.

"장군이 되어 탱크를 몰았지/
전격전이 회오리치고/
시체 썩는 냄새가 진동할 때"

롤링 스톤즈가 이 가사를 포효하는 순간, 그들은 "하이웨이 스타"와 "스피드 킹"의 딥퍼플이 백인 남성 노동자 계급의 마초 멘탈리티로 인해 보지 못했던 락 음악의 역사적 맥락을 힐끗 엿보았던 셈이다. 아마도 로버트 벤투리와 스콧 브라운이라면, 꽤나 캐딜락 컨버터블을 몰고무언가를 배울 목적으로 라스베가스를 향하는 길목에서 꼭 한번 귀담아볼만한 이야기일 것이다.

"건축가가 되어 캐딜락을 몰았지/
가속 페달을 힘껏 밟고/
차창 너머로 네온사인이 희번득거릴 때/"

이런 맥락에서 보자면, 림프비스킷이나 콘의 하드코어 락을 틀어놓고 이라크의 사막을 질주하는 미 기갑부대 장병을, 텔레비전 화면에서 보며 섬뜩해 했던 것도, 다 이유가 있었던 셈이다. "섬뜩함"이 uncanny로 번역될 수 있다면 말이다

http://blog.naver.com/ecri11?Redirect=Log&logNo=9897558

타자기

우리가 글을 쓰는 데 사용하는 재료는 자신의 몫만큼 우리의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 _ 니체

타자기는 정보를 공간화 함으로써 그 목표를 성취한다. 알파벳 문자들은 표준화 된 배열에 따라 분산되고,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즉각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정보는 시각적인 상호작용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접근 가능한 것으로 묘사된다. “공간적으로 지시된 이산적인 기호들, 이것이 타자기가 성취한 진정한 혁신이다, 속도의 증대보다도 더 말이다.

기록의 증가는, 삶의 복잡성의 증가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기도 했다. 특히 그것은 거대 기업과 거대 관료주의의 성장을 가능케 했다.


타자기는 글쓰기 이전에 놓인 텅 빈 공간(장재성의 영역)은 감추고 있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독특한 균열의 순간에 “손과 눈, 그리고 글자를 분리시킨다.” 손은 여기에 나타나는 반면, 글쓰기는 저기에 나타난다. 타이핑은 육체로부터 분리된 정보의 공간을 만들어 낸다. 그것은 원형의 사이버 스페이스이다.
이와 같은 탈육체화는 두드러진 표준화에서 기인한다. 그것은 이미 자판 배열의 결과로 묘사된 바 있다. 손으로 글쓰는 동작이 ‘자연에서 문화로의 연속적인 전이’, 다시 말해 언어 이전의 사유에서 기호로의 전이였다면, 타이핑 동작은 ‘셀 수 있는 공간화된 원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일’이었다. 프리드리히 키틀러는 자연과 육체로부터 집접 형성된 필기를, 문화 체계를 통해 뚜렷하게 매체화된 타이핑과 구분한다.

타자기는 육체적 통제의 상실 또는 더 나아가 육체 자체의 상실마저도 야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결과는, 타이핑된 표준의 완벽함에 도달하기를 열망하는 필기였다.

-포스트 휴먼 디자인 _ 비정한 사물들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편집장과한권의책]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매체예술, 새 미학의 가능성을 열다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박영욱 지음/향연/1만5000원

편집자로서 박영욱이라는 철학자의 책을 출간하는 일은 참으로 반가운 일이다. 다방면으로 부지런히 공부를 하고 학문적으로 체계를 잡아가는 그에게서 또 한 사람 애지자(愛知者)의 모습을 본다. 교정 면에서도 그의 글을 살펴보는 일은 노동이 아니다. 수월치 않은 전문적인 내용을 불편 없이 따라갈 수 있게 해주는 정돈된 글쓰기를 하는 덕분이다.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은 사회철학적 관심의 지평을 문화와 예술의 영역, 대중음악, 예술사, 매체예술, 건축 디자인 분야로 확대하여 공부하는 그의 매체와 관련된 연구서이다. 그는 이 책에서 “매체 일반에 대한 인식론적 존재론적 검토로부터 사운드 아트라는 구체적인 매체예술 장르에 이르기까지, 매체가 새로운 미학의 가능성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 논의하고 있다.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은 마치 고전역학을 비웃기라도 하듯 불규칙적인 곡면으로 자유분방하게 휘어져 있다. 수직 기둥이나 내력벽의 개념이 아예 적용되지 않는 듯 보이는 이 건물의 설계는 디지털의 힘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성공의 배후에는 컴퓨터에 입력된 정교한 알고리듬 체계가 바로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다는 소박실재론의 신앙이 숨어 있다. 매체에 대해서 철학적인 문제의식을 던지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다.”

이처럼 이 책은 매체에 잠재되어 있는 엄청난 사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매체가 우리에게 남기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점점 새로운 매체가 등장하면서 매체가 단순히 어떤 연결 물질이나 정보 전달 장치, 삶을 편리하게 해주는 기계적 발명품 이상으로, 인간의 새로운 사유나 사회적 존재양식을 가져온다는 시각이 형성되고 있다. 더불어 이에 대한 철학적 예술적 반성도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히 이 책의 성과라고도 할 수 있는, 매체예술과 들뢰즈의 철학 연결, 기계에 대한 정의 작업, 키틀러 이론에 대한 논의, 사운드 아트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 등은 이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영감을 주리라 여겨진다.

출판 편집자가 자신이 크게 신뢰하는 저자의 원고를 만나고, 출간 작업 내내 그에 대한 기대를 확인하는 설렘을 준 책에 남다른 애착을 갖는 것은 당연한 일이리라.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은 그러한 점에서도 소중한 의미가 있는 책이다.

오미숙 향연 대표·편집장

키틀러의 기재시스템

[책벌레의 책돋보기-키틀러의 기재시스템] 기록매체의 발전과 서구문학 조명


현존 독일어권의 가장 유명한 매체이론가중의 한 사람인 프리드리히 A. 키틀러(Friedrich A. Kittler)는 그의 학문적 근원에서 보자면 독문학 전공의 전통적인 문예학자라고 여겨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키틀러가 문학을 대하는 태도는 전통적인 문예학 방법과는 사뭇 달라 보인다. 키틀러의 견해에 따르자면 우리는 현대의 정보 기술적 규정성에 대한 염두 없이는 문학과 문학연구를 더 이상 이야기 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키틀러는 문학연구에 있어서의 텍스트의 의미연관성을 추구하는 해석학적 방법론뿐만 아니라 문학작품에 반영된 제생산관계의 해명을 시도하는 문학사회학적 방법론에 대해서도 비판을 가한다. 키틀러는 ‘의미’와 ‘노동’이라는 주요 개념에 근거한 해석학과 문화사회학의 방법론에는 ‘정보’라는 개념이 배제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키틀러는 ‘정보’개념에 기반하여 서구의 문예사를 매체사적 관점에서 새로이 서술하고 있는데, 문자와 인쇄된 책의 기능을 정보의 저장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자면 키틀러는 정보의 저장을 가능하게하고 그 정보의 확산을 도모하는 기술적 기제들을 ‘기재(記載)시스템(Aufschreibesystem)’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키틀러는 기재시스템의 질적 변화에 따라서 역사를 3시대로 구분하고 있다. 키틀러가 ‘기재시스템 1800’이라고 부르는 시기는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발명(1440〜1454)에서 19세기말에 이르는 인쇄 서적이 주도적인 매체로 군림하던 시기다. 괴테를 비롯한 여러 시성(詩聖)들의 권위가 절대적이었던 시기로서 지식을 축적하여 시공간적인 차이를 극복하는데 활자매체가 가히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하였다.

활자매체의 독점적인 지위는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사진, 축음기, 영화, 타자기 등의 발명과 연이은 녹음기, 라디오와 텔레비전의 보급에 따라서 활자 매체의 독점 시기와는 판이한 ‘기재시스템 1900’을 도출시키고 있다. 문자뿐 아니라, 이미지와 소리의 저장이 가능해진 기술적 기제의 발전은 소위 ‘구텐베르크 은하계’의 종말을 야기하게 된 것이다. 기재시스템 1900을 뒤이은 ‘디지털시대에 기반한 총체적인 매체결합’의 시기는 컴퓨터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키틀러에 따르면 데이터의 변화와 조작이 용이한 이 시기에 이르면 기술이 인간에게 접합되어지기보다는 절대적인 지식이 무한히 반복하는 루프로 전락한다. 키틀러는 말하자면 매 시기 기재시스템을 규정지우는 매체적 기술의 자율성을 염두에 두고 있어서 마셜 맥루한이 인류의 매체사에서 읽어내고 있는 ‘인간의 확장으로서의 미디어’라는 견해와는 차이를 보인다.

김영룡 문학평론가

Review on Gramophone, Film, Typewriter

매체이론이나 매체예술에 관한 논의에서 새로운 매체의 속성을 규명하는 것에 연구의 초점이 맞춰져 왔다. 이러한 경향에 대해 매체연구가 지나치게 매체 자제에 함몰되어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지적도 있어왔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이렇게 매체의 문제에 집중하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매체가 그 시대 사람들의 사유방식과 인식체계 그리고 역사사회적 구조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점을 중요하게 바라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오늘 소개할 독일의 매체 이론가 프리드리히 키틀러(Friedrich A. Kittler) 역시 시대마다 새롭게 등장한 매체에 집중하고 있는데, 그는 한 시대를 대표하는 매체들이 그 시대의 역사사회적 변혁와 새로운 담론형성의 토대로 기능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독일과 미국을 넘나들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매체이론가인 프리드리히 키틀러는 아직까지 국내에는 본격적으로 소개되지 않았지만 최근 전공자들 사이에서 그의 매체이론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오늘 소개할『축음기, 영화, 타자기(Gramophone, Film, Typewriter)』는 1985년에 처음 출판된 독일어 본이 아닌 1999년 미국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에서 출판된 영어본을 참고로 했다.
키틀러는 그의 저서 『축음기, 영화, 타자기 Gramophone, Film, Typewriter』에서 1900년대에 등장한 세 가지 매체: 축음기, 영화, 타자기가 인간 사회에 가져온 변화에 주목하였다. 키틀러는 이 책보다 조금 앞서 출판된 Aufschreibesysteme 1800/1900 (1985)을 통해 매체의 변화에 따른 1800년대와 1900년대를 시대적 변화에 주목하면서 데이타를 선택하고 여과하고 생산하는 체계의 변화가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규명하였다면, 『축음기, 영화, 타자기』에서는 1900년대의 축음기, 영화, 타자기라는 세 가지 대표적인 기록 매체가 그 시대의 담론을 구축하는 세계관, 제도, 사회체계까지도 변화에 좀 더 초점을 두고 있다.

키틀러가 매체와 사회적 변혁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은 푸코(Michel Paul Foucault)의 사유체계에 빚을 지고 있다. 키틀러는 매체의 변화가 바로 담론의 변화를 야기한다고 보며, 푸코가 시대마다 단절적 episteme가 존재한다고 보는 것과 같이 매체의 단절적 혹은 변혁적인 속성이 시대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 그는 1900년대의 축음기, 영화, 타자기라는 세 가지 대표적인 기록 매체가 그 시대의 담론을 구축하는 세계관, 제도, 사회체계까지도 변화시켰음을 보여주고 있다. 책의 구성은 제목과 마찬가지로 1. 축음기(Gramophone, 2. 영화(Film), 3. 타자기(Typewriter)의 3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록매체를 통해 ‘영혼’을 담을 수 있을 것이라 믿었던 1800년대 낭만주의 시대와는 달리 소리, 이미지, 문자를 기록하는 축음기, 영화, 타자기라는 1900년대의 새로운 매체들은 인간을 더 이상 낭만주의 시대의 영혼의 존재가 아닌 기계적 매커니즘으로 파악함으로써 인간이라는 대상 자체에 대한 인식마저 변화였음을 지적하고 있다.

키틀러는 자신의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 1900년대에 등장한 매체와 그로 인한 사회적 변화를 연결시키기 위해 다양한 사료들과 매체의 발전의 토대가 된 것으로 본 신경생리학이나 뇌신경학 분야의 연구, 라캉의 정신분석이론을 자신의 풍부한 철학적 이해를 연결시키며 글을 전개하였다. 키틀러의 이와 같은 글쓰기 방식은 그가 얼마나 다양한 분야에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차리게 하지만 한편 독자의 입장에서는 복잡한 미로를 헤매는 듯한 어려움에 빠지게도 한다. 이 책을 소개하면서 사실상 키틀러의 책을 얼마만큼 이해했는지 자신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체와 사회체계 사이에 맺고 있는 관계를 고찰하는 키틀러의 탁월한 관점은 앞으로 새롭게 등장할 또 다른 매체와 그로 인해 변화될 우리의 세계를 이해하는 유익한 관점을 제공할 것이란 점에서 그의 저서를 간략하게나마 소개해 보았다.


글.이주연 (앨리스온 에디터)